반응형

단속 3

미국 체포 1주일 만에 귀국한 316명 한국 근로자, 그들이 겪은 이야기

미국 이민 단속, 한국인 근로자 316명 귀국지난 미국의 이민 단속으로 체포되었던 316명의 한국인 근로자들이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습니다. 금요일 오후 3시 30분, 이들은 미국 현지에서 체포된 지 8일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사건은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전기차 배터리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미국 이민세관 단속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체포된 근로자들은 조지아주 폴크스톤의 구금 시설에서 목요일 새벽에 풀려났습니다. 귀국 과정과 배경당초 계획보다 하루 늦게 풀려난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의 미국 체류 및 미국인 근로자 교육을 장려한 영향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14명의 비(非)한국인 근로자들과 함께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대한항공편으로..

이슈 2025.09.12

미국 배터리 공장 급습, 투자는 장려하고 단속은 웬 말? 재계, 비자 문제에 '답답함' 토로

투자를 부르는 달콤한 말, 현실은 불법 체류자 단속?미국 조지아주에서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이 급습당해 450여 명이 체포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투자 유치를 적극적으로 외치면서, 정작 필수 인력의 비자 문제를 이유로 제동을 거는 미국의 모순적인 행태에 산업계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미래 투자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번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막대한 투자를 감행했지만, 정작 공장 건설을 위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답답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ESTA, B1 비자 없이는 공장 건설 '불가능'… 현실과 동떨어진 규제공장 건설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단기 비자를 활용해야 하는 현실을 미국 정부가 외면하고 있..

이슈 2025.09.06

민생쿠폰 악용 사례 급증: 자영업자들의 눈물, 현금 환불 요구에 속수무책

민생쿠폰, 달콤한 유혹 뒤에 숨겨진 그림자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 사용 후 부당한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소비자 사례가 잇따르면서,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민생쿠폰은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진을 돕기 위해 발행되었지만, 일부 소비자들이 이를 악용하여 현금화하거나 부당한 이익을 취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이가 음식을 먹고 토했다며 환불을 요구하거나, 음식에 이물질이 나왔다는 핑계로 계좌 환불을 요구하는 등, 자영업자들은 예상치 못한 난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자영업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민생쿠폰 관련 피해 사례가 끊이지 않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한 자영업자는 “민생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4만원 ..

이슈 2025.07.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