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건강의 중요성, 그리고 현대인의 위험
10월 16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척추 건강의 중요성과 예방·치료법을 알리기 위해 지정한 날입니다. 일상에서 스마트폰·노트북 등 전자기기를 오랜 시간 활용하고 있는 현대인에게 특히 필요한 날입니다.
ICT 기기 사용 증가와 VDT 증후군의 심각성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생활시간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ICT 기기를 활용한 하루 여가 활동 시간은 1시간 8분으로 5년 전(36분)보다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그만큼 ‘영상표시 단말기(VDT) 증후군’ 환자도 늘었습니다.
국민 열 명 중 한 명, VDT 증후군을 앓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 공개한 '국민관심질병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VDT 증후군'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705만2497명에 달했습니다. 진료를 받지 않은 사람까지 고려하면 국민 열 명 중 한 명은 VDT 증후군을 앓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거북목 증후군, 척추 건강의 적신호
대표적인 VDT 증후군으로는 거북목 증후군이 있습니다. ‘거북목 증후군’은 가만히 있어도 머리가 거북이처럼 구부정하게 앞으로 나와있는 자세를 말합니다. 거북목 증후군은 척추질환과 직결됩니다.
거북목 증후군 방치 시 나타나는 위험
장기간 방치하면 목디스크, 근막통증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 등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미래본병원 김형석 신경외과 전문의는 “사람의 목뼈는 C자 형태인데 장시간 PC나 스마트폰을 사용해 오랫동안 고개를 앞으로 내밀어 숙이고 있는 자세가 계속 진행되면 목뼈가 일자 형태가 된다”며 “일자목은 목에 가해지는 무게를 골고루 분산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머리 목뼈에 무리를 줘 거북목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고 심하면 경추 협착이나 목 디스크까지 증상이 악화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거북목 증후군, 조기 진단과 치료
거북목 증후군으로 인해 통증이 생겼을 경우 자세 교정, 도수치료 등이 효과적이지만 디스크 병변이 진행됐다면 약물치료로 통증을 조절합니다. 통증이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심하다면 신경차단술 등 비수술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자세와 스트레칭의 중요성
예방법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자세와 스트레칭입니다. 의자에 앉는 자세나 모니터와의 시선, 모니터 화면 밝기 등을 바르게 조절합니다. 특히 모니터는 눈 높이와 수평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생활 속 거북목 예방 습관
일자목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바른 자세를 갖는 것입니다. 생활 속 잘못된 습관을 찾아내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지하철 등에서 이동 중에 무릎 위에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놓고 사용하면 시선이 70~80도까지 내려와 목 관절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목 관절의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사용하는 것을 자제해야 합니다.
사무실에서, 집에서! 틈새 스트레칭 루틴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한 시간에 10분 정도는 자리에서 일어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고 의자에 앉을 때도 항상 어깨를 뒤로 젖히고 가슴을 똑바로 편 상태를 유지합니다. 또 1~2분 목을 가볍게 돌리거나 주물러 긴장을 풀어줍니다. 이밖에 목과 어깨 근육이 뭉쳤다면 온찜질을 하거나 마사지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거북목 탈출 스트레칭
거북목 증후군과 목디스크 질환 예방을 위해, 지금 바로 간단한 스트레칭을 시작하세요. 목, 어깨, 허리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스트레칭은 척추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 답변
Q.거북목 증후군 자가 진단 방법은 무엇인가요?
A.똑바로 선 뒤 귀의 중간에서부터 아래로 가상의 선을 그렸을 때 어깨 중간이 같은 수직선상에 있어야 올바른 자세입니다. 만약 그 선이 중간보다 앞으로 2.5㎝ 이상 떨어지면 이미 거북목 증후군으로 진행중이라는 신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Q.스트레칭, 얼마나 자주 해야 효과가 있나요?
A.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특히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경우, 1시간에 한 번씩 5분 정도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Q.이미 목 통증이 있다면,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A.통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자세 교정, 도수 치료, 약물 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신경차단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도 있습니다.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주택자 '세금 폭탄' 현실화? 내년 5월, 팔지 않으면 양도세 '두 배' 충격! (0) | 2025.10.16 |
---|---|
대법관 '전자문서' 심리 의혹, 파기환송 판결 효력 논란: 핵심 쟁점과 향후 전망 (0) | 2025.10.15 |
캄보디아 불지옥: 4m 방에 35명, 경찰 유착... 탈출 생존기 (0) | 2025.10.15 |
캄보디아 '노예' 배후, 87년생 천즈의 프린스그룹… 美·英, 21조원 압류로 '철퇴' (0) | 2025.10.15 |
사법 개혁의 새로운 바람: 민주당, 대법관 증원과 재판소원 담은 개혁안 발표 임박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