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현실, 아빠들이 마주한 두 얼굴
많은 아빠들이 육아를 시작하기 전에는 '친구 같은 아빠'를 꿈꾸지만, 현실에서는 '바쁜 아빠'의 모습으로 더 자주 아이들을 만나게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성년 자녀를 둔 남성 41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러한 현실이 드러났습니다. 아빠들은 육아의 어려움과 시간적 제약 속에서 이상과는 다른 현실을 마주하며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아빠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모습
설문조사에서 아빠들이 가장 꿈꾸는 이상적인 아버지의 모습은 '친구 같은 아빠'(19.4%)였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웃고, 고민을 나누며, 허물없이 지내는 친구 같은 아빠를 많은 아빠들이 꿈꿔왔습니다. '잘 놀아주는 아빠'(14.0%),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아빠'(9.9%), '다정한 아빠'(9.1%), '아이와 소통하는 아빠'(6.5%) 등도 높은 응답률을 보이며, 아이와의 친밀한 관계를 원하는 아빠들의 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실 속 아빠들의 모습: 바쁘고 지친 아버지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아빠들이 실제로 가장 많이 마주하는 모습은 '바쁜 아빠'(15.1%)였습니다. 이어서 '주말에만 시간 내는 아빠'(8.3%), '피곤한 아빠'(7.0%), '지친 아빠'(6.5%), '혼내는 아빠'(5.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바쁜 회사 일과 육아의 병행은 아빠들에게 시간적, 정서적 어려움을 안겨주며, 이상적인 아버지의 모습과는 거리가 먼 현실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상과 현실의 간극, 그 이유는?
아빠들은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 대해 '바쁜 회사일에 지쳐 육아에 집중하기 어려워서', '육아가 생각보다 어렵고 변수가 발생해서', '휴식시간이 없어 마음에 여유가 없어서' 등의 이유를 꼽았습니다.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예상치 못한 육아의 난관, 그리고 충분치 못한 휴식 시간은 아빠들이 이상을 실현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육아, 무엇이 어렵고, 무엇이 자신 있을까?
아빠들이 육아 전 가장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활동은 '놀이'(44.3%)였습니다. 아이들과 즐겁게 시간을 보내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낸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아빠들이 가장 자신 있는 육아 활동은 '육아 외 청소·설거지 등'(22.5%)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가장 어려운 육아 활동으로는 '교육'(32.1%)이 꼽혔습니다. 훈육과 지도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아빠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빠들을 위한 지원, 무엇이 필요할까?
아빠들은 육아에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경제적 지원'(33.5%)을 꼽았습니다. 육아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육아휴직 등 제도적 지원'(28.5%), '심리상담과 관련 교육'(20.4%), '보육 서비스'(16.3%) 등도 중요한 지원으로 꼽혔습니다. 아빠들이 육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아이들과 더욱 행복한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파더링 사업, 아빠들의 육아 효능감을 높이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아빠들의 육아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심리검사, 상담, 놀이 워크숍, 교육 등을 지원하는 '파더링'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파더링 사업 참여 후, 아빠들의 자녀와의 관계, 양육 자신감, 자녀 이해도 등이 평균 34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아빠들이 육아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아이들과 더욱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핵심만 콕!
아빠들은 '친구 같은 아빠'를 꿈꾸지만, 현실은 '바쁜 아빠'의 모습에 가깝습니다. 육아의 어려움과 시간적 제약 속에서, 아빠들은 경제적 지원, 제도적 지원, 심리적 지원 등을 필요로 합니다. 파더링 사업과 같은 지원을 통해 아빠들의 육아 효능감을 높이고, 더욱 행복한 육아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아빠들이 육아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A.설문조사 결과, 아빠들은 훈육과 지도 등 '교육'에 가장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Q.아빠들이 육아에 가장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요?
A.아빠들은 육아에 '경제적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육아휴직 등 제도적 지원, 심리상담 및 관련 교육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파더링 사업은 어떤 효과를 보였나요?
A.파더링 사업 참여 후, 아빠들의 자녀와의 관계, 양육 자신감, 자녀 이해도가 평균 34점 상승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중국, 일본에 '정면 공격' 선언? 관광 통제 넘어 '한일령' 보복 시작되나 (0) | 2025.11.16 |
|---|---|
| 충격! 김건희 모친 '알츠하이머 진단' 제출... 특검, 인권 수사 '고심' 끝에 내린 결정 (0) | 2025.11.16 |
| 웰바이오텍 양남희 회장 구속 기각: '삼부토건 판박이' 주가 조작 의혹, 추가 수사로 진실 밝혀질까? (0) | 2025.11.16 |
| 법정 유쾌함 뒤 감춰진 진실 공방: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 그 이면의 이야기 (0) | 2025.11.16 |
| 주식 투자에 쏠린 '혜택', 노동 가치는 뒷전? '일해도 소용없다' 냉소 부르는 정책, 무엇이 문제일까? (0) | 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