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가 아파트 거래량 급증: 왜?
최근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과 강서구 가양동 등 10억원 미만 중저가 아파트 단지의 거래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이후 관망세를 보이던 수요자들이 다시 매수로 돌아서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와 규제지역 확대 불안감이 맞물려, '무리해서라도 사자'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문동 쌍용아파트, 3년 만의 최고가 기록
동대문구 이문동 쌍용아파트(1318가구)의 경우, 지난달 15건의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6·27 대책의 여파로 7월과 8월에 거래량이 급감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13일 8억3300만원에 거래되며, 2022년 5월 이후 약 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문·휘경뉴타운 개발 호재와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신이문역 접근성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가양동 강변3단지, 거래량 두 배 이상 증가
강서구 가양동 강변3단지(1556가구)의 거래량도 8월 9건에서 지난달 25건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지하철 9호선 가양역과 인접한 한강 변 아파트라는 장점과 소형 주택형 위주 구성으로 비교적 진입 장벽이 낮다는 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전용 49㎡ 매매가는 7억~8억원, 전용 39㎡는 5억~6억원 수준으로, 재건축 프리미엄에 대한 기대감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상승세 이끄는 '한강 벨트'
성동구와 마포구 등 '한강 벨트' 지역의 가격 오름세도 심상치 않습니다. 정부의 규제지역 확대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막차 매수' 심리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성동구 금호동4가 대우아파트 전용 114㎡는 지난달 21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썼고, 마포구 아현동 마포센트럴아이파크 전용 84㎡도 역대 최고가(19억8000만원)를 기록했습니다. 9·7 대책 발표 이후 성동구의 주간 아파트값은 0.41% 급등하며 서울 전체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청년층의 '가성비' 매수세
대출 규제로 레버리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관악구 봉천동 관악푸르지오(2104가구)와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14단지(2265가구) 등 대단지 아파트의 거래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가성비'를 중시하는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거래량 증가 추세
8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188건으로, 7월(4043건)을 넘어섰습니다. 9월 거래량은 3778건을 기록하며, 30일 신고일을 감안하면 두 달 연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서울 부동산 시장, 중저가 아파트 중심으로 '상승 랠리' 지속
결론적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은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살아나며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공급 부족 우려, 규제지역 확대 불안감, 그리고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의 시장 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무리해서라도 사자'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강 벨트 지역의 고가 아파트 시장 또한 규제 강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청년층의 가성비 매수세도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왜 중저가 아파트 거래량이 증가하는 건가요?
A.공급 부족 우려, 규제지역 확대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9·7 공급대책 발표 이후의 시장 반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무리해서라도 사자'는 심리가 확산되었기 때문입니다.
Q.한강 벨트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 이유는 무엇인가요?
A.정부의 규제지역 확대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막차 매수' 심리가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Q.앞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 전망은 어떤가요?
A.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 랠리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금리 인상, 추가 규제 도입 등 변수에 따라 시장 상황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역대급 랠리! 3600선 돌파, 대한민국 주식 시장의 새로운 역사! (0) | 2025.10.10 |
---|---|
원/달러 환율 1420원 돌파! 5개월 만에 최고치… 지금, 당신의 지갑은? (0) | 2025.10.10 |
가자지구 향하던 한국인 활동가, 이스라엘 나포… 석방 위한 외교적 노력과 향후 전망 (0) | 2025.10.10 |
이준석 '동탄 미시룩' 댓글 논란, 법적 대응 예고…진실 공방 점화 (0) | 2025.10.10 |
KAIST, 7800억 잭팟! 뇌전증 신약 물질 이탈리아 수출… 난치병 치료 희망을 쏘다 (1)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