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2030세대를 사로잡다
서울 서대문구 거주 직장인 한모 씨(20대)는 올해 들어 테무·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옷을 구매하는 일이 부쩍 늘었다. 처음엔 티셔츠, 양말 같이 가격이 저렴한 기본 아이템 중심으로 샀지만 요즘엔 재킷, 바지 등 비교적 가격대 있는 상품까지 골고루 구매한다. 한 씨는 “처음엔 시험 삼아 몇천원짜리 옷을 사는 정도였는데 막상 써보니 괜찮아서 이제는 옷장 정리할 때나 계절이 바뀔 때마다 10만~15만원어치씩 산다”면서 “그 돈이면 브랜드 셔츠 한두 벌 살까 말까인데 그보단 테무나 알리에서 여러 벌 사 다양하게 돌려 입는 게 더 나은 것 같다”고 말했다.
구매 규모 확대와 플랫폼 친밀도 상승
이처럼 테무·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을 이용하는 2030세대 소비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다. 기존에는 1만원 이하 저가 아이템을 주로 구매하는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5만원 이상 지불하는 소비자가 늘며 구매 금액이 높아지는 추세다. 젊은층 중심으로 플랫폼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고 이용 경험이 쌓이면서 중저가 패션 시장에서 C커머스(중국계 이커머스)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데이터로 확인하는 C커머스의 성장세
14일 앱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올 8월 한 달간 테무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한 20~30대 이용자 수는 약 256만명으로 전년 동기(212만명) 대비 약 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알리익스프레스의 20~30대 이용자 수도 306만명에서 330만명으로 약 8% 늘었다.
의류 소비의 변화: '싼 맛'에서 '가성비'로
그간 C커머스 업체가 초저가 전략에 주력한 만큼 소비자들도 1만원 이하 의류를 '싼 맛'에 사는 정도에 그쳤지만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은 상품까지 구매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단순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쇼핑을 넘어 제품 품질부터 배송까지 플랫폼 전반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듀프(Dupe) 소비 트렌드와 C커머스의 부상
유명 브랜드 제품과 유사한 품질을 갖추면서도 가격이 낮은 ‘듀프(Dupe)’ 소비가 확산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올 8월 전국 13~69세 남녀 1200명 대상으로 진행한 ‘듀프 소비 트렌드 인식 조사’ 결과 ‘향후 듀프 제품을 (재)구매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51.3%에 달했다. 특히 30대 응답자의 재구매 의향이 57%로 가장 높았다.
SPA 브랜드의 위기, C커머스의 부상
반면 같은 가성비 전략을 가진 주요 SPA(제조직매형의류) 브랜드 매출은 감소하고 있다.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삼성물산이 전개하는 에잇세컨즈의 신용카드 결제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 줄었다. 신성통상이 운영하는 탑텐의 결제 금액도 23억3003만원으로 약 9% 줄었다. 온라인으로 쇼핑 수요가 대거 이동한 상황에서 C커머스 업체들의 초저가 공세까지 더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깡' 문화와 C커머스 친밀도
‘테무깡’, ‘알리깡’ 등으로 불리는 ‘깡’ 문화의 확산도 중국 플랫폼의 인지도 상승에 힘을 보탰다. 소비자들이 중국 플랫폼에서 구매한 상품을 리뷰하며 품질과 가격, 배송 경험 등을 공유하는 영상이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으며 C커머스에 대한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친밀감이 커졌다.
핵심만 콕!
2030세대를 중심으로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이용이 급증하며,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상품을 앞세운 C커머스가 패션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듀프 소비 트렌드와 '깡' 문화 확산은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며, 기존 SPA 브랜드의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C커머스 이용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A.제품 품질, 배송 기간, 반품 정책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리뷰를 참고하여 신중하게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Q.SPA 브랜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A.온라인 마케팅 강화, 차별화된 상품 개발, 고객 경험 개선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Q.앞으로 C커머스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A.소비자들의 이용 경험 축적과 플랫폼의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패션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정감사 격돌: 전산망 마비, 이진숙 사태, 그리고 대법원장의 침묵 (0) | 2025.10.14 |
---|---|
출입 금지 계곡, 아찔한 '충격' 사진… 무모한 행동에 쏟아지는 비난 (0) | 2025.10.14 |
이방카 트럼프의 이스라엘 깜짝 등장: 숨겨진 의도와 가자지구 재건 사업의 그림자 (0) | 2025.10.14 |
축제 김밥 논란: 4000원 김밥 한 줄, 당신의 생각은? (0) | 2025.10.14 |
월급 4,500만 원? 달콤한 유혹 뒤 숨겨진 캄보디아 구인 덫: 당신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한 그림자 (0)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