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한강벨트 집값, 신고가 행진 어디까지? 분당·과천도 들썩… 부동산 시장의 현주소

부탁해용 2025. 10. 4. 11:16
반응형

한강벨트, 집값 상승의 중심

한강변을 따라 위치한 서울의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이 심상치 않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마포구, 성동구, 광진구는 물론, 규제 지역으로 묶인 용산구까지 오름세가 두드러지면서, 한강벨트의 집값 상승 현상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택 구매 수요를 억제하는 데 실패했음을 시사합니다. 자금력이 있는 수요층은 추가 규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매수를 서두르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 지속

한국부동산원의 발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9월 다섯째 주에 0.27% 상승했습니다. 이는 이전 조사 대비 0.08%p 높은 수치입니다.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 대단지, 역세권 등 정주 여건이 우수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며 상승 거래가 포착되었습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폭을 키웠으며, 성동구(0.78%), 마포구(0.69%)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신고가 경신, 집값 상승을 견인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마포구 도화동 삼성아파트 전용 72㎡는 17억원에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엿새 만에 5000만원이 상승한 가격입니다. 성동구 금호동 금호자이2차, 광진구 구의동 현대프라임 등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잇따르며 집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규제 지역인 용산구 역시 0.47% 상승하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수도권, 전국 아파트값 상승 이끌어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전국 아파트값 상승폭도 커졌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는데, 경기도 성남 분당구와 수정구의 상승률이 각각 0.97%, 0.40%를 기록하며, 경기도의 변동률이 0.03%에서 0.07%까지 상승했습니다. 과천시 역시 0.54% 상승하며 수도권 집값 상승에 힘을 보탰습니다.

 

 

 

 

지방, 69주 만에 상승 전환

지방 아파트값은 69주 연속 하락을 마감하고 보합 전환했습니다. 대구의 하락세가 둔화되면서 5대 광역시의 하락폭이 줄었고, 세종은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이는 지방 부동산 시장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세 시장, 상승세 지속

서울의 전세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초구(0.34%), 송파구(0.32%), 강동구(0.27%), 광진구(0.24%) 등 주요 지역에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부동산원은 정주 여건이 좋은 대단지, 역세권 등에서 매물 부족으로 인해 상승 계약이 나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수도권 전체 전세 상승률은 0.08%로,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

시장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의 추가 대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나 대출 규제 강화 등 규제 수위가 높아질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단기적 안정을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결론: 부동산 시장, 상승과 규제의 갈림길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시장의 향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한강벨트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정부의 공급 대책에도 불구하고, 주택 구매 수요가 억제되지 않고, 추가 규제 가능성으로 인해 자금력이 있는 수요층의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Q.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전망되나요?

A.정부의 추가 규제 여부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규제가 강화될 경우, 단기적으로 시장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시장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Q.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A.매물 부족 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한, 전세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