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한국전력에 러브콜… 그 이유는?
올해 한국전력 주가가 심상치 않다. 외국인들이 한국전력 주식을 대량 순매수하며,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만성 적자와 부채에 시달리던 한국전력이 실적 개선과 원전 사업 진출 기대감으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셈이다. 1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외국인은 한국전력을 1조 2079억원어치 순매수했는데,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규모다. 주식 시장의 큰 손인 외국인들이 한국전력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만년 적자 기업, 흑자 전환의 드라마
한국전력은 오랫동안 '만년 적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다녔다. 발전사로부터 비싼 가격에 전력을 구매해와도, 독점 구조로 인해 소비자에게는 저렴하게 판매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분위기가 반전됐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8조 364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로 돌아섰다. 올해는 증권가 컨센서스에 따르면 14조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유진투자증권은 올해 한국전력의 원가 회수율이 11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요금 인상과 원자재 가격 안정화, 긍정적 신호탄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또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전기요금 현실화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내년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올해 4분기 연료비 조정 단가는 동결되었지만, 다른 요소들의 인상 가능성이 남아있다. 또한,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한국전력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4년 만에 배당이 재개된 점도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요인이다.
저평가된 주가, 외국인 자금 유입의 촉매
한국전력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51 수준으로 저평가되어 있다는 점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 요인이다. 저평가된 주식은 상승 여력이 높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외국인들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올해 초 16%였던 외국인 지분율은 10월 15일 기준 22%로 확대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한국전력 주가는 무려 96%나 상승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한국전력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의 상관관계는 0.83에 달한다. 이는 외국인 자금 유입이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넘어야 할 과제: 재무 건전성 확보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한국전력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2021년 이후 누적된 적자가 30조원에 달해, 재무 건전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한국전력의 공매도 잔고가 늘어난 점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공매도 잔고 증가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규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전기요금 인상과 원전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중장기적인 우상향 추세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래를 위한 투자, 긍정적인 전망
결론적으로, 한국전력은 흑자 전환, 전기요금 인상 기대감, 저평가된 주가, 외국인 순매수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맞물려 상승세를 타고 있다. 미국 원전 시장 진출 추진 역시 잠재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재무 건전성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한국전력의 목표 주가를 4만 5583원으로 제시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앞으로 한국전력의 행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핵심만 콕!
외국인 투자자들의 러브콜을 받으며 주가가 급등한 한국전력! 흑자 전환, 전기요금 인상 기대감, 저평가, 원전 사업 기대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작용. 하지만 재무 건전성 확보는 여전히 과제.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종목.
자주 묻는 질문
Q.한국전력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실적 개선(흑자 전환), 외국인 순매수, 전기요금 인상 기대감, 저평가, 원전 사업 진출 기대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Q.한국전력의 앞으로의 전망은 어떤가요?
A.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합니다. 다만, 재무 건전성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전기요금 인상과 원전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여부에 따라 주가 상승폭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한국전력 투자는 지금이 적절한 시점일까요?
A.투자는 항상 신중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요인과 함께, 공매도 잔고 증가, 재무 건전성 문제 등 위험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전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고, 충분한 분석을 통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기의 이혼 소송, 대법원 파기환송 결정…재산분할, 다시 한번 심판대에 (0) | 2025.10.16 |
---|---|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불법 기지국 아이디 추가 발견…피해는 어디까지? (0) | 2025.10.16 |
정성호 법무부 장관, '마동석 근육' 뽐내다 격무로 앞니 빠져… 검찰개혁의 무게 (0) | 2025.10.16 |
시아, 이혼 후 전 남편의 '충격 요구'… 월 3억 5천만 원, 상류층 생활 유지 원해 (0) | 2025.10.16 |
코인 폭락에 멘탈 붕괴? '금 코인'으로 안전하게 투자하는 법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