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멈추지 않는 질주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9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하며 3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전 주 상승률인 0.12%보다 0.07%p 상승한 수치입니다. 특히, 6.27 대출 규제와 9.7 공급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 상승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강벨트, 집값 상승을 견인하다
한강변을 따라 위치한 광진, 강동, 성동, 송파구 등의 '한강벨트' 지역은 서울 집값 상승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KB아파트시장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43% 상승하며 8월 마지막 주부터 6주 연속 오름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지역별로 광진구(1.41%), 강동구(1.36%), 성동구(1.27%), 송파구(0.87%), 중구(0.85%)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광진구와 강동구는 주간 기준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며, 부동산 시장 상승기였던 2018년 9월 둘째 주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지역별 특징과 상승 요인 분석
각 지역별 상승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광진구는 한강변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강동구는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송파구는 관망하던 매수세가 움직이면서 잠실동 주요 단지에서 6.27 대출 규제 이전에 거래됐던 신고가를 경신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송파·가락·문정동을 중심으로 소형 아파트를 찾는 수요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분당구를 포함한 경기 지역 역시 상승세를 보이며, 최고가에도 거래가 이루어지는 등, 매수세가 꺾이지 않는 모습입니다.
전세 시장의 움직임
전세 시장 또한 심상치 않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34주 연속 상승했으며, 특히 송파구(0.77%), 강동구(0.48%), 광진구(0.34%) 등 '한강벨트'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송파구의 경우, 오금·가락동 일대 재건축 단지 이주 수요로 전세 수요가 늘었으나, 계약 연장 등으로 전세 매물이 귀해지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경기도 역시 36주째 오름세를 보이며, 구리시, 하남시, 성남시 중원구 등에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매수 심리 지표와 전망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84.8을 기록하며, 지난주(77.3)보다 7.5p 상승했습니다. 이는 8월 마지막 주부터 6주 연속 매수세가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강북 14개구는 77.5, 강남 11개구는 91.3으로 각각 상승하며, 서울 전 지역에서 매수 심리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매수 심리는 당분간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강벨트 중심의 서울 집값 상승, 지속될까?
결론적으로, 서울 아파트 시장은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세 시장 또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수 심리 역시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어, 이러한 추세가 단기간에 꺾일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다만, 금리 인상, 추가 규제 등 변수가 존재하므로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한강벨트 지역의 집값 상승 원인은 무엇인가요?
A.한강변 입지, 재건축 기대감, 매수 심리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Q.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A.재건축 이주 수요, 매물 부족 등의 요인이 해소되지 않는 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앞으로 집값 전망은 어떻게 예상할 수 있을까요?
A.금리 인상, 추가 규제 등 변수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장 항공 마일리지, 당신의 것은 아니었습니다: 외교관들의 숨겨진 이야기 (0) | 2025.10.05 |
---|---|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석방: 체포 적법성은 인정, 수사는 계속될까? (0) | 2025.10.05 |
알뜰족들, 추석 선물도 중고거래! '미개봉' 반값에 득템하는 비법 (0) | 2025.10.05 |
서해를 둘러싼 긴장: 중국의 해양 조사 방해와 우리의 대응 (0) | 2025.10.05 |
블랙록, 한국에 AI 투자를 결정하다: 미·중과의 격차를 좁히고 아시아 AI 수도로 도약할 기회 (0) | 202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