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신용점수 900점 이상, 절반에 육박! '고신용자=부자' 프레임, 위험한 이유

부탁해용 2025. 9. 18. 08:28
반응형

금리, 차주의 위험을 반영하는 '거울'

최근 정치권에서 '저신용자는 높은 금리를, 고신용자는 낮은 금리를 누리는 현실이 역설적'이라는 발언이 나오면서, 금융 시장의 기본 원칙을 흔드는 시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금리는 단순히 돈을 빌리는 가격이 아니라, 차주의 위험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즉, 신용도가 높으면 위험이 낮아 금리가 낮아지고, 신용도가 낮으면 위험이 높아 금리가 높아지는 것이 시장경제의 기본적인 흐름입니다. 이러한 원칙을 무시하고 인위적으로 금리를 조정하려는 시도는 시장 왜곡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고신용자, 정말 '부자'일까?

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신용 평점이 900점 이상인 사람은 전체의 47%에 달합니다. 이는 상당수의 중산층이 고신용자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신용자=부자'라는 단순한 등식으로 접근하여 고신용자에게 불이익을 주고 저신용자를 지원하려는 정책은 현실과 괴리가 있습니다. 신용점수는 소득 수준뿐만 아니라, 성실한 상환 이력, 부채 관리 능력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됩니다.

 

 

 

 

신용점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신용평가기관은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NICE평가정보의 경우, △현재 연체 및 과거 채무 상환 이력(28.4%) △신용카드 사용 실적(27.5%) △부채 수준(24.5%) 등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합니다. 즉, 과거의 연체 경험, 빚을 얼마나 잘 갚았는지, 그리고 신용카드 사용 내역이 신용점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소득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신용점수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포퓰리즘 정책의 위험성: 시장경제 붕괴?

정치권에서 쏟아지는 금리 관련 정책들은 시장경제의 근본적인 원리를 훼손할 위험이 있습니다. 고신용자에 대한 금리 인상, 저신용자 금리 인하, 이자율 제한 등은 금융 시장의 왜곡을 초래하고, 나아가 대외 신인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저신용자에 대한 지원은 복지 정책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금융 시장의 금리 산정 구조에 손을 대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 득보다 실이 많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는 일시적으로 저신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더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최고금리가 낮아지면, 제도권 금융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내몰릴 위험이 커집니다. 실제로 법정 최고금리 인하와 불법 사금융 피해 건수 증가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역별 금리 우대 정책, 또 다른 시장 왜곡

특정 지역에 우대 금리를 적용하는 정책 역시 시장 왜곡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경제 상황, 산업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금리 정책은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세계은행(WB)은 포용 금융의 핵심 요건으로 접근성, 적정성, 지속 가능성을 제시하며, 금융 지원은 시장 원리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핵심만 콕!

결론적으로, 신용점수는 단순히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며, '고신용자=부자'라는 이분법적인 사고는 위험합니다. 금융 시장의 기본 원리를 무시하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시장 경제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용 질서를 존중하고, 시장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신용점수가 낮은데,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A.연체 없이 꾸준히 상환하고, 신용카드 사용 실적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불필요한 부채를 줄이고, 자신의 소득에 맞는 소비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Q.고신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정책은 왜 문제인가요?

A.고신용자라고 해서 모두 부자는 아니며, 오히려 성실하게 빚을 갚아온 중산층이 많습니다. 이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정책은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고, 시장 경제의 원리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Q.정부의 금리 정책,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A.단기적인 효과보다는 장기적인 시장 안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장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은 지양해야 합니다. 또한, 저신용자에 대한 지원은 복지 정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