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노란봉투법의 역습: 삼성, 기재부, 아파트까지… 대한민국을 뒤흔드는 단체교섭의 파도

부탁해용 2025. 8. 2. 19:21
반응형

노란봉투법, 무엇을 바꾸는가?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은 2014년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을 돕기 위한 모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법은 손해배상 청구로 생계가 위협받는 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했으나, 결과적으로 노동 3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당초 취지에 부합하는 법 개정은 보복성 손해배상 청구를 금지하고, 근로자의 귀책사유에 따라 책임 범위를 정하도록 했습니다.

 

 

 

 

경영계의 우려: 단체교섭과 쟁의행위 범위 확대

경영계는 단체교섭 대상과 쟁의행위 범위가 대폭 확대된 조항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현행 노동조합법상 사용자는 ‘근로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임금을 지급하는 자’입니다. 그러나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범위를 ‘근로조건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자’로 확대했습니다.

 

 

 

 

삼성전자, 하청 노조의 단체교섭 요구

2026년 3월, 삼성전자 창원 반도체사업장 내 후공정 라인을 담당하는 A사 노조는 삼성전자 본사에 단체교섭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A사 노조는 삼성전자가 납기 단축을 이유로 테스트 장비 교체 및 인력 감축을 지속 지시하고 있으며, 이는 A사 조합원들의 노동시간, 교대근무 방식, 고용 안정성 등에 직결되는 사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A사 노조는 실질 사용자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직접 교섭을 요구했습니다.

 

 

 

 

공공기관,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교섭 요구

공공기관 B공단 노동조합은 성과급 삭감에 반발하며, 단체교섭의 상대로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목했습니다. B공단은 기획재정부의 경영평가 대상인 준정부기관으로, 정부 예산 지원과 기재부의 세부 지침에 따라 인건비와 성과급 수준이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노조 측은 기재부가 실질적 사용자라고 주장하며,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공식 교섭을 요구했습니다.

 

 

 

 

아파트 경비·미화원,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에게 교섭 요구

서울 강남의 L아파트에서는 경비·미화원들이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김모 씨에게 단체교섭 요구서를 전달했습니다. 이들은 법적으로는 아파트 관리업체 C사 소속이지만, 실제 근무 조건은 입주자대표회의의 결정에 따라 좌우된다고 주장하며, 실질 사용자는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김씨라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노조는 야간 순찰 확대, 에어컨 사용 금지, 청소 시간 조정 등 주요 근무 지시가 모두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해 내려온다고 주장했습니다.

 

 

 

 

노란봉투법 시행, 무엇을 의미하는가?

노란봉투법 시행은 단체교섭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이는 기업의 경영 방식, 공공기관의 운영, 그리고 아파트와 같은 일상생활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경영상의 결정도 쟁의행위 대상에 포함됨으로써, 노사 관계에 새로운 국면을 열 것으로 보입니다.

 

 

 

 

핵심만 콕!

노란봉투법 시행으로 인해 단체교섭 대상과 쟁의행위 범위가 확대되면서, 기업, 공공기관, 심지어 아파트까지 노동 분쟁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 경영, 공공 서비스, 그리고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노란봉투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요?

A.노란봉투법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으로, 단체교섭 대상과 쟁의행위 범위를 확대하여 노동 3권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Q.노란봉투법 시행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나요?

A.기업의 경영 방식, 공공기관의 운영, 그리고 아파트와 같은 일상생활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경영상의 결정도 쟁의행위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Q.단체교섭 대상이 확대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A.원청, 기재부, 입주자대표회의 등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들도 단체교섭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노사 관계에 새로운 긴장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