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그러나…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6월 대비 둔화되었지만, 부동산 시장의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2조 2000억 원으로, 6월의 6조 5000억 원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도 줄었고, 신용대출은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이는 6·27 대출 제한 조치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불안감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다시 고개를 드는 서울 아파트 가격
가계대출 증가 폭이 줄어드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불안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4%로, 직전 주 0.12%보다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이는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6주 만에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것입니다. 이러한 집값 상승은 부동산 시장의 불안감을 더욱 고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신용대출 증가와 시장 불안 심화
8월 들어 은행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 말보다 1조 9111억 원 증가했습니다. 특히 신용대출이 1조 693억 원 급증하며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 이는 공모주 투자 증가, 정부 가계대출 규제 등을 예상한 대출 선수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신용대출 증가는 부동산 시장의 불안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대응과 공급 대책의 필요성
금융당국은 시장 불안이 확대될 경우 추가 규제 조치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규제지역 주택 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거시건전성 규제 정비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 규제만으로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 규제만으로 부동산 시장을 진정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최대한 빠르게 공급대책이 나오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급 대책의 시급성을 강조하는 전문가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대출 규제 효과가 길어야 3~6개월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빠르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김덕례 주산연 주택연구실장은 3기 신도시 신속 공급, 민영주택 공급 촉진을 위한 규제 혁파, 도시 정비 활성화 등을 통해 억눌린 매매 수요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4분기 중 집값 급등세를 막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공급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서울 집값 상승, 신용대출 증가 등 부동산 시장 불안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추가 규제를 고려하지만, 전문가들은 금융 규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주택 공급 대책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6·27 대출 제한 조치와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었습니다.
Q.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A.금융 규제와 더불어 주택 공급 대책이 신속하게 마련되어야 합니다.
Q.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전망되나요?
A.전문가들은 공급 대책이 늦어질 경우, 4분기 중 집값 급등세가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본코리아와 점주들, 악의적 유튜버 저격! 강경 대응으로 가맹점 생존 사수 (2) | 2025.08.14 |
---|---|
10조 원 손실 경고! 포스코이앤씨 영업정지 후폭풍, 건설 현장 멈춤, 주택 공급 차질까지? (1) | 2025.08.14 |
물 폭탄 쏟아진 수도권, 오늘 오전까지 '최대 70mm' 폭우… 출근길 안전 주의보 (0) | 2025.08.14 |
충격! 인도 노점상, 끓는 기름에 플라스틱 봉지째 투하… 건강 위협 조리법 논란 (2) | 2025.08.14 |
건진법사, 서희건설, 김건희…'미스터리 커넥션'의 전말: 윤석열 정부를 뒤흔든 의혹 (2)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