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째 장지를 찾지 못한 전두환, 연희동 자택 봉안 가능성
오는 11월, 사망 4주기를 맞는 전두환 씨의 유해를 서울 연희동 자택에 영구 봉안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거센 반발에 부딪혀 4년째 장지를 구하지 못하면서, 생전 머물던 곳에 묻힐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두환 씨가 대통령을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내란죄로 형이 확정되어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파주 안장 무산, 북녘 땅 바라보는 곳에 묻히고 싶어 했던 고인의 뜻
전두환 씨는 생전에 북한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묻히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의 부인 이순자 씨는 남편이 화장해서 북녘 땅이 보이는 곳에 뿌려달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유족들은 2023년 북녘 땅이 내려다보이는 경기 파주시 문산읍에 장지를 정하고 땅 계약까지 마쳤습니다. 하지만 지역 여론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무산되었습니다.
유족들의 고심, 임시 안치된 유해, 그리고 4주기
장지 문제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해는 4년째 유골함에 담겨 임시로 안치되어 왔습니다. 오는 11월 4주기를 앞두고, 유족들은 연희동 자택에 영구 봉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전 씨 측 관계자는 YTN 취재진에게 아직 봉안을 정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연희동 자택 마당에 유해를 봉안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연희동 자택, 비자금 추징 소송의 쟁점
결국, 전두환 씨는 몸 누일 자리를 찾지 못하고 생전 머물던 연희동 자택에 묻힐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연희동 자택은 전 씨가 사망한 후 부인 이순자 씨와 가족들이 소유하며 머물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 씨가 비자금 추징을 피하려 자택 명의를 부인과 가족에게 돌렸다고 보고 환수 소송을 냈지만, 지난 2월 1심에서 각하 처분을 받았습니다. 현재 오는 11월 20일 항소심 선고를 앞두고 있습니다.
장지 문제, 사회적 파장
전두환 씨의 장지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의 행적과 관련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유족들의 결정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4주기를 맞아, 그의 유해가 어디에 안치될지, 그리고 그 결정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핵심만 짚어보는 전두환 장지 논란
4년째 장지를 찾지 못한 전두환 씨의 유해가 연희동 자택에 영구 봉안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내란죄로 국립묘지 안장이 불가능해지면서, 유족들은 파주 안장을 추진했지만 지역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습니다. 현재 연희동 자택 봉안을 논의 중이며, 비자금 추징 소송과도 얽혀 있는 복잡한 상황입니다. 4주기를 앞두고 그의 장지 결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전두환 씨는 왜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나요?
A.전두환 씨는 내란죄로 형이 확정되어 국립묘지 안장이 불가능합니다.
Q.유족들은 왜 파주에 장지를 마련하려 했나요?
A.전두환 씨가 생전에 북한이 보이는 곳에 묻히고 싶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입니다.
Q.연희동 자택 봉안은 어떤 의미를 갖나요?
A.장지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 생전 머물던 곳에 묻히는 것은, 고인의 마지막을 기리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극의 그림자: 20대 틱톡커 실종, 50대 남성 긴급 체포…진실은? (0) | 2025.09.14 |
---|---|
사도광산 추도식, 일본 언론의 우려와 한일 관계의 그림자 (0) | 2025.09.14 |
생애 첫 주택 구매 열풍: 신혼부부·신생아 정책자금, 역대 최고 매수 비중을 견인하다 (0) | 2025.09.14 |
34만원 펜션의 숨겨진 함정: '차라리 호텔' 외침이 터져 나온 이유 (0) | 2025.09.14 |
법인카드, 유흥업소 결제 6000억 원 육박! 당신의 기업은 안전한가요? (0) | 202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