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1000억 투입 배수펌프장, 침수 피해 키운 '원흉' 되나
전남 구례 지역에 10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 배수펌프장을 신설했지만, 전력 공급 지연으로 인해 시설하우스 침수 피해가 발생하여 농가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극한 호우가 휩쓸고 간 후, 배수펌프장의 늑장 가동이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대규모 홍수 피해를 겪었던 구례 지역에서 이러한 상황이 재발하면서, 농민들은 '인재'라는 강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여름 오이 농가, 6~7시간 침수로 '초토화'…뿌리 썩고 잎 처져
구례 마산면 사도리 일대에서 여름 오이를 재배하는 임병준 씨는 17일 극한 호우로 인해 2644㎡(800평) 규모의 시설하우스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임씨는 과습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시기에 뿌리가 장시간 물에 잠겨 산소 공급이 끊기면서, 작물의 생육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다고 토로했습니다. 현재 뿌리가 노랗게 변하고 잎이 처지는 등, 정상적인 수확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전력 공급 지연, 늑장 가동의 주된 원인…농민들 '분통' 터뜨려
임씨의 시설하우스 바로 옆에 위치한 배수펌프장은 전력 공급 문제로 인해 제때 작동하지 못했습니다. 많은 비가 쏟아지는 긴급한 상황에서도 배수펌프는 무용지물이었고, 농민들은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이었습니다. 한국전력 직원이 퓨즈를 연결한 후에야 펌프가 작동하기 시작했지만, 이미 때는 늦어 피해를 막지 못했습니다. 농가들은 배수펌프가 제때 가동되었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늑장 가동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습니다.
구례군과 한전의 책임 공방…농민들은 '무책임한 변명' 비판
구례군은 상시 전력 공급을 위한 고압선로 구축 지연을 이유로 들었지만, 비상시 예비전력으로도 펌프 가동이 가능했던 상황이었습니다. 군과 한전 사이의 책임 공방이 벌어지는 가운데, 농민들은 지역 재난 상황을 총괄해야 할 지방자치단체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변명으로 일관한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대규모 홍수 피해를 겪었던 구례 지역에서, 배수펌프장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늑장 대처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노후화된 배수펌프장, 기상이변에 속수무책…재설계 시급
경남 밀양시, 창녕군 등에서도 배수펌프장 노후화로 인한 문제점이 드러났습니다. 펌프 밸브 고장, 과부하로 인한 펌프 정지 등,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습니다. 충북 청주시 옥산면 일대 농가들은 배수펌프장과 배수로의 용량 부족을 지적하며, 과거 강우 기준에 맞춰 설계된 시설을 최근 기상이변에 맞춰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배수펌프장, 기상이변 시대의 '생명줄'…철저한 대비 필요
구례군농민회 김봉용 회장은 2020년 홍수 피해를 언급하며, 배수펌프장이 안전과 생존을 위한 필수 시설임을 강조했습니다. 광주광역시와 전남 일대에 호우경보가 발령된 비상 상황에서, 배수펌프장을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지 않은 이유와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 현상이 빈번해지는 만큼, 배수펌프장 및 관련 시설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개선이 시급합니다.
핵심만 콕! 1000억 배수펌프장, 늑장 가동으로 농가 초토화…기상이변 시대, 안전 불감증이 부른 '인재'
1000억원을 투입한 배수펌프장이 늑장 가동으로 인해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습니다. 전력 공급 문제, 노후화된 시설, 미흡한 대처 등, 복합적인 문제들이 겹쳐 발생한 '인재'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 현상이 빈번해지는 만큼, 배수펌프장과 배수로의 재설계 및 철저한 점검을 통해 농민들의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배수펌프장 침수 피해, 궁금증 해결!
Q.배수펌프장이 왜 제때 작동하지 않았나요?
A.전력 공급 지연, 노후화된 시설, 미흡한 대처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Q.피해 농가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A.현재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으며,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보상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Q.앞으로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요?
A.배수펌프장 및 배수로의 재설계, 시설 점검 강화, 비상시 대응 매뉴얼 구축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수욕장 안전요원, 파라솔 설치에 묶여 안전은 뒷전? 수익 우선 운영, 물놀이 사고 위험 키운다 (2) | 2025.07.27 |
---|---|
이재명 대통령의 '이자놀이' 경고, 금융권의 변화를 촉구하다: 투자 확대를 위한 금융당국의 긴급 간담회 (2) | 2025.07.27 |
베트남, 한국 유학 열풍: 5만 6천 명이 선택한 이유와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위한 모든 것 (2) | 2025.07.27 |
밤에도 30도 이상! 서울 초열대야, 극한 폭염 언제까지? (0) | 2025.07.27 |
김건희 여사 '명품 목걸이' 미스터리: 특검 수사, 증거 인멸 정황 포착? (0)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