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하늘의 눈, 2시간마다 북한을 감시한다: 군 정찰위성 5기의 놀라운 능력

부탁해용 2025. 11. 2. 17:22
반응형

북한을 2시간 간격으로 감시하는 '하늘의 눈'

대한민국 군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징후를 감시하고, 종심 지역의 전략 표적을 감시하기 위해 '425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이 사업의 핵심은 바로 군 정찰위성 5기를 확보하는 것이었죠. 그리고 마침내, 5호기 발사 성공으로 그 대장정의 마침표를 찍었습니다. 이제 우리 군은 5기의 정찰위성을 군집 운용하며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특히,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입체적으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되어, 북한의 움직임을 빈틈없이 감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25 사업, 1조 3천억 원의 투자와 그 의미

425 사업은 약 1조 3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적인 프로젝트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우리 군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를 확보했습니다. EO·IR 위성은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지만, 흐린 날씨에는 임무 수행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반면, SAR 위성은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우리나라는 흐린 날씨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2~5호기를 SAR 장비 탑재 위성으로 구성했습니다. 이러한 위성 시스템 구축은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 전력을 강화하고, 킬체인 역량을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5기의 정찰위성, 촘촘한 감시망 구축

이번 5호기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총 5기의 정찰위성을 운용하게 되었습니다. 1호기는 2023년 12월에 발사되었고, 2, 3호기는 2024년 4월과 12월에, 4호기는 올해 4월에 발사되었습니다. 이제 5호기까지 발사에 성공하면서, 우리 군은 더욱 촘촘한 대북 감시망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위성 군집 운용을 통해 한반도 재방문 주기를 단축하고, 표적 특성에 맞는 센서를 활용하여 북한의 도발 징후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안보를 굳건히 하는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 초소형 위성 개발

425 사업 외에도, 우리나라는 초소형 위성체계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위기 상황을 신속하게 감시하고, 국가 우주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위성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내년 하반기에는 초소형 SAR 검증 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발사가 진행될 계획입니다. 이는 안보 영역의 우주 확장에 발맞춰 국방 우주력을 강화하고, 국내 위성 개발 경험을 축적하여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군 당국의 메시지: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 확보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5호기 발사 성공을 통해 우리 군이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추가로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또한,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 증강으로 킬체인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북한의 위협에 대한 억제력을 높이고, 유사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우리 군은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대한민국의 안보를 더욱 굳건히 할 것입니다.

 

 

 

 

핵심만 콕! 군 정찰위성 5기 발사 성공, 대한민국 안보를 든든하게!

군 정찰위성 5기 발사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북한의 움직임을 2시간 간격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강력한 눈을 갖게 되었습니다. 425 사업을 통해 구축된 이 감시망은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 전력으로, 킬체인 역량을 강화하여 대한민국의 안보를 더욱 굳건히 할 것입니다. 또한, 초소형 위성 개발을 통해 미래 우주 강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정찰위성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A.정찰위성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징후를 탐지하고, 종심 지역의 전략 표적을 감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군은 북한의 위협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획득하고, 적절한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Q.SAR 위성이란 무엇인가요?

A.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은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위성입니다. 레이더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정보를 획득하며, 구름이나 안개 등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Q.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A.우리 군은 5기의 정찰위성을 활용하여 북한 감시를 강화하고, 초소형 위성 개발을 통해 미래 우주 전력 강화에 힘쓸 것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대한민국의 안보를 더욱 굳건히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