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탁현민, 이재명 대통령 회견 평가: '맥 빠진' 기자회견, 무엇이 문제였나?

halfdesk 2025. 7. 4. 18:13
반응형

탁현민,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평가

탁현민 국회의장 행사기획자문관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에 대해 ‘지금 아마 (이 대통령이) 돌아가면 엄청 답답하실 것 같다’고 평가하며, 아쉬움을 드러냈다문재인 정부 청와대 의전비서관을 지낸 탁 자문관은 JTBC 유튜브 라이브 ‘장르만 여의도’에 출연하여, 이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이 많았을 텐데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점을 지적했다.

 

 

 

 

형식적인 문제점 지적: 좋은 질문의 기회 감소

탁 자문관은 기자회견의 형식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며, 좋은 질문을 끄집어내기 어려운 구조라고 비판했다그는 ‘과연 기자회견이라는 형식이 여전히 유효한 형식인가라는 고민을 제가 일할 때도 똑같이 했다’며, 좋은 질문을 하려면 특정 기자를 선택해야 하지만 이는 공평성 문제를 야기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추첨 방식의 질문자 선정은 좋은 질문이 나올 확률을 떨어뜨린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한국 기자회견의 차이점 분석

탁 자문관은 미국의 백악관 기자들과 한국 기자들의 차이점을 비교하며, 한국의 기자회견 방식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미국은 백악관 출입 기자들의 수가 적어, 한 기자가 오랜 기간 출입하며 정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송곳 같은 질문을 던진다반면, 한국은 횡적 평등을 강조하여 좋은 질문보다 다 같이 질문할 기회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어, 맥 빠진 기자회견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의 진행 방식과 결과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121분간 이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이 진행되었다회견에는 국내 매체 119곳, 외신 28곳 등이 참여했으며, 질문자는 즉석에서 추첨 방식으로 정해졌다그러나 다양한 분야의 15개 질문이 나왔지만, 이른바 ‘송곳 질문’은 없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질의응답 방식의 문제점과 평가

질문자를 즉석에서 추첨하는 방식, 즉 ‘제비뽑기’ 방식이 지역 언론에 질문 기회를 많이 배분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회견 말미에 직접 질문 기회를 주기도 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의 기자회견 연출을 ‘상당히 소박하게 연출했다’고 평가했다.

 

 

 

 

탁현민의 날카로운 분석: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 무엇이 부족했나?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날카롭게 분석하며, 형식적인 문제점과 질문 방식의 아쉬움을 지적했다. 그는 좋은 질문이 나오기 어려운 구조와 횡적 평등을 강조하는 한국 기자회견의 한계를 지적하며, 맥 빠진 기자회견이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꼬집었다. 이번 분석은 기자회견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한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탁현민 자문관이 지적한 기자회견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A.탁현민 자문관은 기자회견의 형식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며, 좋은 질문을 끄집어내기 어려운 구조와 추첨 방식의 질문자 선정으로 인해 좋은 질문이 나올 확률이 떨어진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습니다.

 

Q.미국과 한국의 기자회견 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A.미국은 백악관 출입 기자들이 정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송곳 같은 질문을 던지는 반면, 한국은 횡적 평등을 강조하여 다 같이 질문할 기회를 우선시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한국의 기자회견은 맥 빠진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 탁현민 자문관의 분석입니다.

 

Q.이번 기자회견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무엇인가요?

A.이번 기자회견은 다양한 매체와 기자들이 참여했지만, ‘송곳 질문’은 거의 나오지 않았다는 평가입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의 기자회견 연출을 ‘상당히 소박하게 연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