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카페 '중국인 사절' 논란, 반중 정서와 글로벌 도시 서울의 충돌

부탁해용 2025. 10. 28. 20:03
반응형

카페, '중국인 사절' 선언…논란의 시작

한국의 대표 관광 명소인 서울 성수동의 한 카페가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겠다고 공언하며 국내외에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단순히 한 카페의 영업 방침을 넘어, 한국 사회에 뿌리내린 반중 정서와 상업적 자율성, 글로벌 도시가 된 서울의 위상이 충돌하는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카페 사장의 입장: '손님들 사이의 반중 정서'

카페 사장 A씨는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는 이유에 대해 '제 개인적 신념이 아니다. 손님들 사이에 반중 정서가 크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A씨는 '중국인 손님들이 시끄럽게 하며 소란을 피우고, 다른 손님들이 '짱깨 왔다'라고 말하는 등 카페 내에 갈등이 생기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카페의 상황: 안내문 부재, 인스타그램 문구 존재

카페 내외부에는 '중국인 출입 금지' 등의 안내는 없었지만, 대부분 20∼30대 내국인 손님들이 자리를 채웠습니다. 하지만 카페의 인스타그램 공식 프로필에는 '미안하지만 우리는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는다'는 영어 문구가 그대로 게시되어 있습니다.

 

 

 

 

논란의 확산: 중국 인플루언서, 중국 커뮤니티의 반응

카페를 둘러싼 논란은 19만 팔로워를 보유한 재한 중국인 인플루언서가 비판 영상을 게시하면서 중국과 미국 커뮤니티 등에서 먼저 촉발되었고 국내로 '역수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성수동에서 만난 중국인 관광객들은 불쾌감을 표출했습니다.

 

 

 

 

성동구청의 입장: 뾰족한 수 없는 상황

관할 성동구청은 논란 진화에 나섰지만, 카페의 자율에 달린 부분이라 뾰족한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성동구청 관계자는 '구청이 인종차별을 법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그럼에도) 외국인 차별을 막기 위해 설득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여론의 분열: 옹호 vs 반대

국내 여론은 갈립니다. '왜 그럴까를 생각해야 한다. 얼마나 진상짓을 많이 하면 저럴까'라는 옹호 주장도 있지만, '중국이 '한국인 금지'라고 하면 기분이 어떻겠느냐. 국뽕짓 좀 하지 마라'는 반론도 제기됩니다.

 

 

 

 

법조계의 시각: 인권 침해 소지

법조계에서는 이런 '노차이나존'이 결국 '노키즈존'과 비슷하다며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이나 민사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에 따르면 재화·용역 등의 공급이나 이용과 관련해 국가·민족 등을 이유로 특정 사람을 배제할 경우 평등권 침해의 차별 행위에 해당합니다.

 

 

 

 

전문가의 의견: 혐오 극복의 필요성

홍성수 숙명여대 법학부 교수는 '아무리 사적 영업이라 할지라도 인종이나 성별을 이유로 손님을 가려 받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박경태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는 '혐오를 방치하면 걷잡을 수 없는 '혐오의 파도'에 휩쓸리게 된다'며 '경제적으로 성장하더라도 그에 걸맞은 시민의식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타국의 조롱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핵심 정리: '중국인 사절' 카페 논란의 파장

성수동 카페의 '중국인 사절' 선언은 반중 정서, 상업적 자율성, 글로벌 도시 서울의 위상이 충돌하며 국내외 논란을 야기했습니다. 혐오와 차별에 대한 우려와 함께, 서울이 진정한 글로벌 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를 제시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카페가 '중국인 사절'을 선언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카페 사장은 손님들 사이의 반중 정서와 중국인 손님들의 소란, 갈등을 이유로 밝혔습니다.

 

Q.성동구청의 입장은 무엇인가요?

A.성동구청은 카페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인종차별을 막기 위해 설득을 시도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강제할 방법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Q.전문가들은 이 사태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A.전문가들은 인종 차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서울이 진정한 글로벌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혐오를 극복하고 시민 의식을 함양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