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구미, 개인의 미적 감각을 탐구하다
‘추구미’라는 단어가 있다. 개인이 추구하는 미적 감각을 표현한 말이다. 추구미란 단어는 왜 생겼을까? 나는 옷 입기 고민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한다. 유행을 따르는 옷 입기가 아닌, 쇼핑몰에서 추천하는 것이나 사치품으로 도배하기가 아닌, 진짜 내가 원하는 스타일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렇게 패션은 개인화되고, 개인화된 패션은 서로의 옷차림을 존중하는 문화로 이어진다.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운동화
이번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인 운동화를 신고 나왔다. 내 편은 파란색, 네 편은 빨간색이었던 대한민국 유세 현장에서 두 가지 색이 공존하는 신발을 신은 것이다. 당연히 화제가 되었고, 다들 이 운동화에 대한 해석을 내놓았다. 그는 자신이 추구하는 정치를 운동화에 담았다. 지난 유세 현장에서 신었던 리복 운동화는 대통령이 된 그의 ‘추구미’였던 것이다.
운동회를 통해 본 통합의 의미
나는 그 운동화를 보고 어릴 적 운동회가 떠올랐다. 모든 학년이 청팀과 홍팀(혹은 백팀)으로 나뉘어 줄다리기, 이인삼각 달리기, 계주 등 자신의 팀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최선을 다해 뛰는 운동회. 얼마 전 집 근처 초등학교에서 운동회(계주였다)하는 걸 봤는데 아이들이 그렇게 열심히 뛰더라. 모두 자신의 팀이 이겼으면 하는 마음에 열심히 응원했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제법 박진감 넘치는 승부를 펼쳤다. 반전의 반전을 거듭해 결국 한 팀이 승리했고, 열심히 뛴 모든 아이들을 위해 그룹 퀸(Queen)의 ‘위 아 더 챔피언(We are the Champion)’이 배경 음악으로 흘러나왔다.
국민 통합을 상징하는 아이템
이재명 대통령의 운동화는 당원들이 준비했건, 본인의 아이디어건 분열과 갈라치기로 얼룩진 대한민국을 통합하고, 하나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전형성에서 벗어난 패션은 이목을 끈다. 그리고 사람들은 거기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려 애쓴다. 유력한 대선 후보가 신은 리복 운동화는 상징성 덕분에 그 가치가 급상승했다. 품절되자마자 리셀가가 치솟았고, 고가의 사치품처럼 거래되기 시작했다. 이 운동화는 국민 통합을 상징하는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고, ‘국민을 위해 직접 발로 뛰겠다’는 후보의 의지를 드러내는 시그니처가 되었다.
운동화 디자인의 숨겨진 의미?
하지만 이 운동화엔 두 가지 색이 모두 들어갔고 그로 인해 판매율은 시원찮았을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수상한 디자인은 빨간색 부분의 무늬와 파란색 부분의 무늬가 미묘하게 어긋나 있다는 점이다. 디자이너는 세상의 모든 정합에 반기를 들고 싶었던 것일까?
운동화, 패션, 그리고 대한민국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된 지 두 달이 되어가고 있다. 그는 시그니처 아이템이던 운동화처럼 열심히 뛰고 있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중심에 번쩍, 섬에 번쩍. 소록도에 방문했던 사진을 봤다. ‘현직 대통령으론 처음 방문’이라는 기사가 놀랍다. 대통령이 방문하니 기사가 나고, 기사가 나면 사람들은 관심을 두게 된다. 보여주기식이 아닌, 대통령에겐 좌도 우도, 중심 도시도 섬도, 진보도 보수도 모두 대한민국인 것이다. 그렇게 어긋나 있는 대한민국을 하나로 만드는 것. 운동화의 어긋나 있는 박음질은 지금의 대한민국을 상징하며, 빨간색과 파란색의 공존은 가야 할 방향성을 상징한다.
결론: 운동화에 담긴 통합의 메시지
운동화는 단순한 패션 아이템을 넘어, 분열된 사회를 통합하고 국민과 함께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어긋남 속에서 조화를 찾아가는 과정은,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자주 묻는 질문
Q.대통령이 운동화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A.국민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고, 분열된 사회를 통합하려는 의지를 표현하기 위함입니다.
Q.운동화 디자인의 어긋남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A.다름을 인정하고,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Q.운동화가 국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국민 통합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대통령의 진정성을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연착, 왜 이렇게 잦을까? 지연율 1위 항공사, 그리고 해결책 (0) | 2025.07.27 |
---|---|
구윤철 부총리, 베선트 장관과 관세 협상 재개: 한미 통상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 (1) | 2025.07.26 |
6조 5천억 원의 마법: 소비쿠폰, 당신의 일상을 바꾸다 (1) | 2025.07.26 |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32명 사망…평화적 해결 위한 노력은? (0) | 2025.07.26 |
6살 연상 외숙모와 불륜, 아들까지… 금수저 화가 테오도르 제리코, 파란만장 삶의 기록 (1)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