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변화하는 죽음 준비
서울에 사는 김명희(61)씨는 재작년 남편과 함께 무의미한 연명 치료 중단을 서약한 이후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고 합니다. 당시 지역 구청에서 마련한 ‘웰다잉’ 강의를 듣고 ‘삶은 어떻게 잘 마무리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이 계기였다고 합니다. 그는 “주어진 만큼만 사는 게 가장 자연스러운 삶”이라며 “의술로 무의미하게 생명을 연장할 생각은 없다”고 전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의 고령층이 죽음을 준비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장례 절차의 변화
우리나라 고령층의 경우, 묫자리를 미리 보는 전통적인 장례 준비가 줄어드는 반면, ‘마지막 순간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죽음에 대비해 장지를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2020년 24.8%에서 2023년 20.8%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남은 자식들을 위해 묫자리를 미리 봐둔다’는 예전의 관념이 무색해진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화장률의 급증과 장례 방식의 변화
장례 방식의 변화는 화장률에도 반영됩니다. 지난해 전체 사망자의 93.8%가 화장으로 장례를 치렀고, 이는 2004년 화장률인 49.2%의 두 배 가까운 수치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장례 문화의 변화와 맞물려 있으며, 이에 따라 신체의 마지막 모습에 대한 준비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사전 연명 의료 의향서의 중요성
흥미롭게도, 사전 연명 의료 의향서를 작성하는 노인들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 4.7%에서 2023년 11.1%로 두 배 이상 증가한 이 수치는, 많은 고령층이 죽음을 준비하는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문서는 연명 치료 중단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것으로, 고령층의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웰다잉 교육의 확산
노인복지관 등에서 웰다잉 교육을 받는 어르신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교육에서는 유언장 작성 방법과 사전 연명 의료 의향서의 의미 등을 배우게 되며, 이는 고령층의 인식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웰다잉 지도사와 같은 전문가들이 직접 강의하여, 어르신들이 보다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새로운 장례 문화의 필요성
유재철 대한민국장례문화원 대표는 ‘웰다잉 정책 간담회’에서 고인의 죽음과 나의 죽음을 생각하는 문화가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죽음 직전 지인들을 만나는 ‘생전 이별식’이나 고인의 이야기·추억을 소개하는 애도식을 활성화하자”고 제안하며, 새로운 장례 문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삶의 질을 중시하는 고령층의 새로운 선택
오늘날 고령층은 단순한 생명 연장보다 삶의 질을 우선시하며, 죽음을 준비하는 방식에서도 큰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명 치료 중단과 웰다잉 교육을 통해, 그들은 보다 의미 있는 마지막 순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물어보셨습니다
Q.웰다잉 강의는 어떻게 참여할 수 있나요?
A.지역 구청이나 노인복지관에서 웰다잉 강의를 운영하니, 해당 기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Q.사전 연명 의료 의향서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A.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담 후 작성할 수 있습니다.
Q.화장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사회적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화장이라는 장례 방식이 더 선호되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시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바람, 행정수도 이전 공약의 영향 (0) | 2025.05.24 |
---|---|
김수현의 '넉오프', 위약금 1000억? 디즈니+의 공개 보류 이유는? (0) | 2025.05.24 |
하버드 유학생들에게 날아온 충격, 트럼프 행정부의 이례적인 조치 (0) | 2025.05.24 |
뜨거운 대선 후보 TV토론, 비방과 네거티브 공세의 전쟁 (0) | 2025.05.24 |
쿠팡, 무료 서비스의 함정! 가입자 이탈 걱정에 초긴장 상태 (0)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