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현장 방문: 이재명 대통령, '목숨값 300만원' 발언의 의미와 파장
SPC 삼립 시화공장 방문: 사고 현장과 간담회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SPC 삼립 시화공장을 방문하여 산업재해 근절을 위한 현장 노사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 방문은 지난 5월, 크림빵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50대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김범수 SPC삼립 대표에게 사고 당시 상황을 상세히 질문하며,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습니다.
12시간 맞교대 근무와 심야 노동의 문제점 지적
사망한 노동자가 12시간씩 맞교대로 근무하다 새벽 2시 50분경 사고를 당했다는 사실에 이 대통령은 깊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그는 “노동 강도가 너무 세서 밤 같을 때는 졸릴 것 같다”며, 2022년 SPC그룹 계열사 SPL에서 발생한 유사 사고를 언급하며 반복되는 안전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특히, “일주일에 4일을 밤 7시부터 새벽 7시까지 풀로 12시간씩 사람이 일을 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저는 의문이 든다”고 말하며 장시간 노동의 위험성을 강조했습니다.
노동자의 생명 존중과 안전한 일터의 중요성 역설
이 대통령은 심야 장시간 노동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진단하며, “그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특히 “한 달 월급 300만원 받는 노동자라고 해서 그 목숨값이 300만원은 아닌 것”이라고 강조하며, 노동자의 생명 존중과 안전한 노동 환경 구축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이 발언에 허영인 SPC그룹 회장은 현재의 12시간 맞교대 근무 형태를 개선하겠다고 답했습니다.
과거 산업재해 피해 경험과 안전 사회에 대한 의지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아시겠지만 (저도) 노동자 출신이고, 산업재해 피해자이기도 한데, 그로부터 수십 년 세월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노동 현장에서 죽어가는 노동자들이 너무 많다”고 언급하며, 과거 소년공 시절 겪었던 사고 경험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돈 때문에, 또는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것이라면 그건 정말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하며, “죽지 않는 사회, 일터가 행복한 사회, 안전한 사회, 우리가 꼭 만들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SPC와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한 인연
이 대통령은 허영인 회장에게 과거 부친과 형이 일했던 빵 공장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SPC와의 특별한 인연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제 부친께서 일하시던 공장이고, 삼립은 저희 형님이 일하시던 공장이고 인연이 있다”며 빵 공장의 어려움을 공감했습니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은 안전 문제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과 진정성을 더욱 돋보이게 했습니다.
핵심 내용 요약: SPC 방문, 산업재해 근절 의지 표명
이재명 대통령의 SPC 삼립 시화공장 방문은 50대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를 계기로 이루어졌으며, 장시간 노동과 안전 불감증에 대한 비판과 함께 노동자의 생명 존중을 강조했습니다. 대통령은 과거 자신의 경험을 언급하며 안전한 일터 구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허영인 회장은 12시간 맞교대 근무 형태 개선을 약속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이재명 대통령이 SPC 삼립 시화공장을 방문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지난 5월, 크림빵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50대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로, 산업재해 근절을 위한 현장 노사간담회를 개최하기 위해 방문했습니다.
Q.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내용은 무엇인가요?
A.노동자의 생명 존중, 안전한 노동 환경 구축, 장시간 노동의 위험성, 그리고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강조했습니다.
Q.SPC 측의 입장은 무엇인가요?
A.허영인 SPC그룹 회장은 12시간 맞교대 근무 형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