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백수, '대한민국 혐오'에 여대생 31차례 흉기…묻지마 범죄, 그날의 진실
예고 없는 비극: '묻지마 범죄'의 그림자
2014년 11월 21일, 울산에서 발생한 끔찍한 사건은 우리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18세 여대생이 버스 정류장에서 20대 남성에 의해 흉기로 살해당한 이 사건은,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 어떠한 관계도 없었다는 점에서 더욱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는 이른바 '묻지마 범죄'의 전형적인 사례로, 사회 전체에 불안감을 조성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잔혹한 범행의 순간: 31번의 칼날
사건은 7월 27일 오전 6시경, 울산 남구 삼산동의 한 버스 정류장에서 벌어졌습니다. 생일 파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던 여대생 A양은, 23세 장모씨의 갑작스러운 공격을 받았습니다. 장씨는 미리 준비한 칼로 A양을 무자비하게 찔렀고, 범행은 순식간에 벌어졌습니다. 당시 현장에는 아침 식사를 위해 이동 중이던 회사 직원들이 있었고, 그들은 즉시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목격자 중 한 명은 도주하는 장씨를 500m가량 추격하여 붙잡았고, 장씨는 현장에서 체포되었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결과: 젊은 생명의 비극
칼에 찔린 상처가 무려 31곳에 달했던 A양은 즉시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양쪽 폐와 간이 손상되고 과다 출혈로 인해 결국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은 한창 꽃다운 나이의 젊은 여대생의 생명을 앗아갔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를 자아냈습니다. 묻지마 범죄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 친구, 그리고 사회 전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는 잔혹한 행위입니다.

범행의 배경: '대한민국 혐오'와 좌절감
장씨는 검거 직후 경찰에게 '대한민국이 싫다. 나 혼자 죽기 그렇고 누구 하나 같이 죽어야 한다'고 범행 동기를 밝혔습니다. 사건 발생 전날, 장씨는 아버지와의 술자리에서 경제적인 문제로 질책을 받은 후,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지 못한다는 좌절감에 휩싸였습니다. 이로 인해 극단적인 분노를 느낀 장씨는, 아무나 살해하겠다는 충동을 느껴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묻지마 범죄는 사회적 불만과 개인적 좌절감이 결합되어 빚어낸 비극으로, 그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합니다.

법정에서의 공방: 심신미약 주장의 허와 실
장씨는 법정에서 만취 상태로 인한 심신상실 또는 심신미약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정신 감정 결과, 장씨가 만취 상태에서 사물 변별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이 미약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법원은 범행의 잔혹성, 도주 행위, 그리고 범행 경위에 대한 구체적인 진술 등을 근거로 장씨가 자신의 행위를 통제할 수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장씨는 징역 25년형을 선고받았고, 항소심에서도 원심이 유지되었습니다.

사회의 경고: 묻지마 범죄, 무엇을 말하는가
재판부는 이 사건을 '묻지마 살인'으로 규정하며, 피해자와 가해자 간의 원한 관계나 치정, 보복 등 통상적인 살인 사건과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묻지마 살인은 특정 개인뿐 아니라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이기에, 그 죄질이 매우 무겁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우리 사회가 묻지마 범죄에 대해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함을 일깨워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핵심만 콕!
2014년 울산에서 발생한 묻지마 흉기 살인 사건은, 20대 백수의 '대한민국 혐오'에서 비롯된 비극이었습니다. 31차례의 칼날, 젊은 여대생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징역 25년형 선고까지. 이 사건은 사회적 고립, 좌절감, 묻지마 범죄의 심각성을 드러냅니다.

독자들의 Q&A
Q.피해자와 가해자는 어떤 관계였나요?
A.피해자와 가해자는 서로 일면식도 없는 사이였습니다. 묻지마 범죄의 특성상, 어떠한 개인적인 원한 관계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Q.가해자는 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나요?
A.가해자는 '대한민국이 싫다. 나 혼자 죽기 그렇고 누구 하나 같이 죽어야 한다'고 진술했습니다. 그는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좌절감으로 인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밝혔습니다.
Q.가해자는 어떤 형량을 받았나요?
A.가해자는 1심에서 징역 25년형을 선고받았고, 항소심에서도 형이 유지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