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 자녀 둔 엄마, 70%가 일한다: 워킹맘의 현실과 경제적 어려움
워킹맘, 사상 최고 고용률 기록
미성년 자녀를 둔 '워킹맘' 비율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취학 연령대인 13~17세 자녀를 둔 워킹맘의 고용률은 처음으로 70%를 돌파했습니다. 10명 중 7명은 아이 교육비를 위해 취업전선에 뛰어든 셈입니다.
기혼 여성 고용 현황: 2016년 이후 최고치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1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후 역대 최대치입니다. 해당 고용률은 2020년(55.5%) 이후 6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연령대별 워킹맘 비율
워킹맘의 비율은 △ 45~49세 67.9% △ 50~54세 66.5% △ 35~39세 64.7% △ 40~44세 64.5% △ 30~34세 57.8%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자녀 수와 워킹맘 비율
워킹맘의 비율을 자녀수별로 살펴보면, 자녀 1명(64.6%), 자녀 2명(64.6%), 자녀 3명 이상(60.6%) 순이었습니다. 자녀수와 무관하게 일자리에 뛰어든 대목입니다.
13~17세 자녀를 둔 워킹맘의 높은 고용률
특히 자녀가 13~17세 취학연령일 경우, 15~54세 기혼여성 고용률은 올해 상반기 기준 70.4%로 지난해 대비 1.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7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산업별 취업 현황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사는 취업자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47만5000명(17.8%), 교육서비스업 41만7000명(15.6%), 도매 및 소매업 33만4000명(12.5%) 순으로 많았습니다.
경력단절 여성 현황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10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1만명 감소했습니다. 해당 연령대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의 비율은 14.9%로 전년대비 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는 2014년 경력 단절 여성에 대한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역대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경력단절 사유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의 비율이 44.3%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결혼(24.2%), 임신·출산(22.1%), 가족돌봄(5.1%), 자녀교육(4.3%) 순입니다.
워킹맘의 현실, 70% 고용률이 말해주는 것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들의 높은 고용률은 교육비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을 방증합니다. 워킹맘의 증가는 여성의 사회 참여를 확대하지만, 육아와 일의 병행에 따른 어려움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워킹맘의 고용률이 왜 이렇게 높아졌나요?
A.높은 교육비, 생활비 부담,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Q.워킹맘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육아와 가사, 직장 일의 병행에 따른 시간 부족, 심리적 부담, 경력 단절의 위험 등 다양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Q.경력단절 여성 감소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여성의 사회 복귀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인식 개선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여성들이 육아 문제로 경력 단절을 겪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