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공포, 한국도 안전할까? 전문가가 말하는 영향과 대비책
일본 열도를 뒤흔드는 지진 공포: 괴담에서 현실로?
최근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에서 1000회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며, 일본 열도에 대지진 공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유명 만화가의 예언을 시작으로 '7월 난카이 대지진' 괴담이 퍼지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1999년 출간된 만화 '내가 본 미래'에서는 2025년 7월 5일 대지진 발생을 예언했는데, 동일본 대지진의 3배에 달하는 쓰나미가 일본 서남권을 덮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을 정확히 예측한 다쓰키 료의 예언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난카이 대지진, 한국에도 영향 미칠까?
지진학·지구물리학 전문가는 난카이 대지진 발생 시 한반도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한반도 남부의 가까운 곳이 난카이 해구에서 500㎞ 안쪽에 있다”며 “만약 난카이 해구에서 규모 8.0에 이르는 지진이 난다면 이 일이 남의 일만은 아닐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3월 미얀마 지진 당시 1000㎞ 떨어진 방콕 고층 건물이 흔들린 사례를 언급하며, 한반도 고층 건물에도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한반도, 최대 30cm 흔들림 가능성
전문가들은 난카이 대지진 발생 시 한반도가 최대 30cm 넘게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홍 교수는 “만약에 난카이에서 규모 9.0 규모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이론적으로 간단하게만 계산해도 한반도가 30㎝ 넘게 흔들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1944년과 1946년 난카이 지진 당시에는 고층 건물이 없어 피해가 제한적이었지만, 현재는 고층 건물이 많아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도카라 열도 지진과 '도카라의 법칙'
도카라 열도에서 지진이 잦아지면서 '도카라의 법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홍 교수는 '도카라의 법칙'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지만, 도카라 열도 지진의 특이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아무리 판의 경계부라고 하더라도 한자리에서 이렇게 집중적으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짧은 시간 동안에 많이 나는 경우는 굉장히 이례적”이라며 “보통 규모 9.0이나 8.0에 이르는 큰 지진이 나고 나서 여진이 발생할 때 이런 일이 관측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해당 지역에 많은 응력이 쌓여있고, 힘이 배출되지 못한 상태임을 의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지진 공포, 일본 여행 업계에도 그림자
대지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본 여행 업계에도 타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일본을 방문하는 여행객 수가 감소했으며, 일부 항공사는 운항 중단을 결정하는 등 경제적 피해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대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현실화될 경우, 더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핵심만 콕!
일본 난카이 대지진 공포가 현실화될 경우, 한반도도 지진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최대 30cm 흔들림 가능성을 경고하며, 고층 건물의 피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도카라 열도 지진과 '도카라의 법칙' 등 지진 관련 현상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함께, 일본 여행 업계의 피해 사례를 통해 대지진의 파급력을 보여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난카이 대지진은 왜 위험한가요?
A.난카이 해구는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규모 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층 건물이 많은 한국의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
Q.도카라 열도 지진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도카라 열도에서 잦은 지진 발생은 해당 지역에 많은 응력이 쌓여있고, 큰 지진의 전조일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도카라의 법칙'의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고 보지만, 지진 발생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Q.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A.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고층 건물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는 등 지진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또한,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전문가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