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놓치면 손해! 1000만 명 몰린 상생페이백, 당신은 혜택 받았나요?

부탁해용 2025. 10. 17. 19:21
반응형

상생페이백, 뜨거운 관심 속 2414억 원 지급

9월 한 달간 1000만 명이 넘는 신청자가 몰린 상생페이백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요건을 충족한 415만 명에게 총 2414억 원이 지급되었으며, 1인당 평균 5만 8155원의 혜택이 돌아갔습니다이는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결과입니다.

 

 

 

 

수도권 집중, 지역별 신청 현황

상생페이백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6.4%), 경남(6.0%)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등 13만 곳에 달하고,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상생페이백, 어떤 사업인가?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증가하면,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월 최대 1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으며,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지원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0대, 가장 적극적인 참여...고령층은?

연령대별 신청률에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30대가 25.4%로 가장 높은 신청률을 보였고, 40대(24.8%), 50대(19.6%)가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60대, 70대, 8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청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에게 디지털 기반 신청 절차가 장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디지털 격차 해소, 과제는?

상담 및 민원 중 신청 방법, 디지털 온누리 앱 관련 문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보면, 고령층의 디지털 접근성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습니다. 김원이 의원은 오프라인 신청 창구 홍보 강화, 고령층 맞춤형 지원책 마련을 통해 디지털 취약계층도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을 촉구했습니다.

 

 

 

 

신청 방법 및 지급 일정

상생페이백 신청은 11월 30일 자정까지 가능하며, 한 번만 신청하면 9월 사용분부터 소급 적용됩니다. 9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은 15일에 지급되었으며, 10월과 11월 사용분은 각각 다음 달 15일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개인의 모든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이 자동으로 합산되며, 카카오톡 또는 문자메시지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생페이백, 놓치지 말고 혜택 받으세요!

1000만 명이 넘는 국민들이 참여한 상생페이백!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이 사업에 아직 참여하지 않으셨다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11월 30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넉넉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상생페이백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A.상생페이백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가까운 전통시장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와 페이백 지급용 신용·체크카드를 지참하세요.

 

Q.어떤 카드를 사용해야 하나요?

A.개인이 보유한 모든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이 자동으로 합산됩니다.

 

Q.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A.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등 약 13만 개 오프라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과 디지털 온누리 앱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