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중, 엇갈린 시선: '중국 딜레마' vs '신냉전 시작'… 한반도 정세, 어디로?
북중러, 열병식 참석… 다양한 해석 쏟아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6년여 만의 중국 방문이 전해지면서, 다음 달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열병식에 북중러 정상이 나란히 참석하는 모습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SCMP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여러 시각을 전달했습니다.
중국, 딜레마에 빠졌나… 북한과의 관계 재조명
중국 인민대 스인훙 교수는 이번 김 위원장 방문이 중국이 북한의 도발적 행동을 '못 본 척'하거나 일시적으로 용서하는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중국이 북한의 핵심 행동에 대해 제한적인 영향력만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전략적 협력의 필요성… 북러와의 관계
중국과 북러의 전략적 협력 관계는 선호가 아닌 필요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었습니다. 중국이 미국을 전략적 위협으로 평가하면서 북러와의 협력 관계는 지정학적 구조에서 없어서는 안 될 축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익명의 중국 전문가 역시 중국이 전략적 딜레마 상황에 놓여 있으며, 북러에 대한 영향력이 극도로 제한적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북한의 입장: 경제적 생명줄, 중국
러시아 극동연방대 아르티옴 루킨 교수는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그동안 일부 마찰이 있었던 북중 관계가 정상화되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북한 입장에서는 북러 관계 강화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생명줄'인 중국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중국을 대체할 경제 파트너가 없는 북한으로서는 중국과 소원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신냉전의 시작?… 북중러 연합 가능성
주재우 경희대 교수는 사상 첫 북중러 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하며, 2023년 한미일의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만큼 중요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조지 H.W. 부시 미중 관계재단의 이성현 선임연구원은 이번 열병식이 신냉전의 공식적 시작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북중러 간 합동 군사훈련 가능성을 주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셈법 복잡해지나… 향후 전망
북중러 정상회담으로 가시적인 정책 변화가 없더라도 이후 미국의 셈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은 북중러가 향후 미국과의 현안에 대해 한 팀으로 움직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지역 질서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북중러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딜레마, 신냉전의 시작 등 엇갈린 시각 속에서 한반도 정세의 변화 가능성이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왜 중요할까요?
A.북중러 정상의 만남은 국제 정세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북한, 중국, 러시아 간의 협력 강화는 미국의 외교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한반도 정세는 물론 세계적인 신냉전 구도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Q.중국은 왜 딜레마에 빠졌다고 평가받나요?
A.중국은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에도 불구하고 북러와의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북한의 행동이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경우에도, 지정학적 이유로 협력 관계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Q.북중러 관계,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요?
A.전문가들은 북중러 간의 협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합동 군사훈련, 경제 협력 등 다양한 형태로 관계가 발전할 수 있으며, 이는 한반도 및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