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인 반전: 워싱턴을 뒤흔든 김 장관의 끈기와 승리
위기의 시작: 2+2 회담 취소와 절망적인 상황
밤사이 미국과 한국의 관세협상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갔습니다. 대통령실도 밤새 촉각을 곤두세웠고, 결국 시한인 8월 1일을 하루 앞두고 타결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협상과정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지난 24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갑작스레 2+2 회담을 취소하면서 인천공항까지 갔던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이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관세 부과 시한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불거진 최대 변수였습니다.
절망 속 한 줄기 빛: 김 장관의 고군분투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까지 귀국한 상황에서 워싱턴에 남아있던 장관급 인사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뿐이었습니다. 지난 23일, 김 장관은 임명된 지 닷새 만에 임명장도 받지 못한 채 출국했습니다. 김 장관은 협상 상대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집무실은 물론 뉴욕 자택까지 찾아갔고, 지난 주말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러트닉의 스코틀랜드 출장길까지 따라가 협상했습니다. 대서양을 두 번이나 건넌 건데, 러트닉 장관도 '진정성을 느꼈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협상 타결의 결정적 순간: '마스가 프로젝트' 제안
이 과정에서 김 장관은 타결의 핵심 요소가 됐던 미국 조선업 재건,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금씩 협상에 진전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1차 출국 불발 닷새 만에 재차 방미 길에 오른 구윤철 부총리의 발걸음은 다소 가벼워졌습니다.
대통령의 격려와 최종 합의
막판 협상 내용을 보고받은 이재명 대통령은 "어려운 협의인 건 알지만, 국민 5,200만 명의 대표인 만큼 당당한 자세로 임해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시한을 하루 앞두고 한국 대표단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새 정부의 첫 번째 성공: 위기를 기회로
출범 두 달도 안 된 한국의 새 정부가 최대 고비를 넘어선 순간이었습니다.
결론: 워싱턴을 뒤흔든 김 장관의 끈기와 외교적 승리
극적인 반전의 드라마였습니다. 2+2 회담 취소라는 위기 속에서 김 장관을 중심으로 한 끈질긴 노력과 '마스가 프로젝트' 제안이 협상 타결의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대통령의 격려와 트럼프 대통령과의 최종 합의를 통해 새 정부는 최대 고비를 넘기고 외교적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이번 관세 협상의 핵심 쟁점은 무엇이었나요?
A.미국 측의 관세 부과 시한, 한국의 투자 조건, 그리고 '마스가 프로젝트'를 통한 미국 조선업 재건 등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Q.김정관 장관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A.워싱턴에 유일하게 남은 장관급 인사로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의 끈질긴 협상을 통해 협상 타결의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마스가 프로젝트' 제안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Q.이번 협상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새 정부 출범 후 첫 번째 큰 외교적 난관을 극복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